본문 바로가기
인문학/과학

토마스 쿤이 들려주는 패러다임 이야기

by 까만여우 2014. 6. 13.
728x90

 


토머스 쿤이 들려주는 패러다임이야기

저자
오채환 지음
출판사
자음과모음 | 2007-01-31 출간
카테고리
아동
책소개
과학 축구를 통해 배우는 정상 과학 그리고 패러다임! 미국의 과...
가격비교

 

 패러다임은 사물과 현상을 이해하거나 설명하는 생각의 틀, 또는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을 뜻하는 그리스어 파라데이그마 라는 말에서 유래되어진 것이다.

쿤에 의하면 사물을 보는 방식 문제이 인식과 해법에 관한 특정시대의 과학자 집단의 공통된 이해로 풀이된다. 사물을 보는 방법 문제를 삼는 방법 문제를 푸는 방법의 총체를 패러다임이라고 한다.

어느 시대나 하나의 패러다임에 기초해 인식론적 사회제도적 자연 탐구를 한다.

하나의 패러다임 지배아래 이루어지는 과학적 활동을 정상과학이라고 한다.

지금까지의 패러다임에는 코페르니쿠스 패러다임 뉴턴 패러다임 아인슈타인 패러다임이 구체적 예이다.

 

정성과학의 특징

1.정상과학은 특정의 패러다임을 공유하는 과학자들의 연구활동이다.

 정상과학 기간에 과학자들은 패러다임을 확장하고 정교화 시키는 작업을 한다.

2.정상과학은 퍼즐풀이 활동과 흡사하다.

주어진 문제에 답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기존의 방식 규칙만을 바탕으로 문제를 만들어내고 풀이한다.

 

기존의 패러다임으로 설명할 수 이뻐는 변칙적인 문제를 만난 위기의 정상과락은 과학 혁명의 국면으로 직면한다.과거이 패러다임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교체하는 데 이는 더 정교해서가 아니다.

단순한 외적요인 때문이라고 봐서 쿤은 과학의 합리성을 무시한 상대주의자로 비판받기도 한다.

 

패러다임의 순환논리

옛과학-패러다임출현-정상과학-위기-혁명-경쟁적 패러다임출현-새 정상과학

 

이 책은  쿤의 패러다임을 쉽고 재미있게 만들어 이해하기 쉬웠다.

다음에는 쿤이 쓴 과학혁명의 구조를 제대로 읽어봐야 겠다.

 

'인문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먼 시계공 도킨슨  (0) 2014.06.19
이기적 유전자 -도킨슨  (0) 2014.06.18
다윈지능-최재천  (0) 2014.06.02
다윈의 식탁 장대익 다윈 이후 진화론자의 논쟁  (0) 2014.05.20
다윈의 종의 기원-진화론  (0) 2014.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