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과학

눈먼 시계공 도킨슨

by 까만여우 2014. 6. 19.
728x90

눈먼 시계공 (사이언스 클래식 3)

저자
리처드 도킨스 지음
출판사
사이언스북스 | 2004-08-09 출간
카테고리
과학
책소개
진화론인가 창조론인가.이 책의 제목으로 사용된 시계공watchm...
가격비교

 
 
 
눈먼 시계공
다윈주의는 유전적 변이를 수반한 계획적인 번식은 축적될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광범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론이다.
 
자연선택은 눈먼 시계공이다
눈이 멀었다고 하는 것은 앞을 내다보지 못하고 절차를 계획하지 않고 목적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다.
여러 사례를 통해 도킨슨의 이론을 증명하고 있다.
게다가 다은 진화론자들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특히 반대편의 단속평형설의 굴드 등을 반반하는 논리는 굴드의 책과 함께 읽으면서 비교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미국의 고생물학자인 닐스 엘드리지와 스티븐 제이 굴드는 1972년 처음 단속평형설을 발표했다.
그들은 실제 화석 기록이 우리 생각처럼 불완전하지 않을 것임을 주장했다.
어쩌면 공백은 불완전성에 대한 필연적인 결과이기보다는 실제 일어났던 일을 반영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계통 진화가 진화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긴 정체기를 거치며 끊어졌다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어떤 의미에서는 진화는 갑작스러운 폭발의 형태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킨슨은 갑작스러운 개체의 돌연변이 과정을 일으키면 배우자가 없어 번식의 어려움을 겪고 돌연변이는 사라지게 된다고 보았다.
또한 잡작스러운 변화를 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모든 것이 변화해야 하는 데 실제로 그렇게 되기까지는 무수한 시간이 필요하다.
대변이를 위해서는 끊임없이 작은 변이들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인문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0) 2014.07.27
총,균,쇠  (0) 2014.06.20
이기적 유전자 -도킨슨  (0) 2014.06.18
토마스 쿤이 들려주는 패러다임 이야기  (0) 2014.06.13
다윈지능-최재천  (0) 201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