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토론7

이젠 함께 읽기다 -공독, 토론, 글쓰기의 힘 이젠, 함께 읽기다독서공동체 숭례문학당 이야기 신기수, 김민영, 윤석윤, 조현행 지음 목차1장 토론의 풍경 현장 읽기의 현장소개2장 책으로 놀아보자 도서관, 기업, 아이들과 주부 등 다양한 독서토론의 현장에서 서평 쓰고 책을 쓰고 함께 읽기가 함께 쓰기, 함께 보기로 나아간 기록3장 왜 독서토론인가평생학습의 시대에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왜 함께 읽어야 하는지, 독서토론의 의미와 가치4장 독서토론 어떻게 할까독서토론 진행의 객관적 안내5장 어떤 책을 읽을까 독서 입문자들에게 권하는 책, 숭례문학당 사계를 담았다. 글의 내용저자는 집단 독서, 사회적 독서를 지향한다,공동체적 삶을 함께 고민하고 모색하고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에서 책을 읽은 뒤 최악의 독자가 되지 않도록 하라. .. 2016. 10. 19.
엄마는 파업중 엄마는 파업중김희숙  푸른책들   2006년 개정판 형아지기>1.형아지기>는 자폐증을 앓고 있는 형아를 맞벌이를 하는 부모 대신 돌보는 민규의 이야기입니다. 작년 가을 형민이가 이사온 뒤 형아를 찾으러 가는 길에 형민이네 집서 딱치치기를 하고 놀다가 돌아가는 데 형민이랑 놀지 말라는 아줌마의 목소리가 들렸습니다. 아줌마의 이런 행동에 대해 공감합니까? 어느 날, 형민이네 집 대문을 나서는데 아줌마의 목소리가 들렸다.“앞으론 민규하고 놀지 말아라. 걔네 형이 이상한 아이라더라.” (중략)그 날 우리 형아가 지구에서 사라지기를 얼마나 진심으로 바랐는지 모른다. 그 때부터 새로 이사 온 아이들과 친하게 지내 본 적은 한 번도 없었다. (P.11)   2. 동진이는 친구들과 놀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친구들은 형.. 2016. 6. 10.
꽃들에게 희망을 꽃들에게 희망을트리나 폴러스 글 그림 김석희 옮김1999년 초판 2001년 개정 시공주니어출판사 꽃들에게 희망을 은 두고두고 읽기에 좋은 책이며 어른 아이 모두 읽기에 좋다.아이들과 토론하기에도 부담이 없는 분량의 책이다. 책 표지에 삶과 진정한 혁명에 대한 그러나 무엇보다도 희망에 대한 이야기라고 쓰여있다.저자는 이 책은 온갖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진정한 자아를 찾아 나선 애벌레의 이야기라고 하면서 더 나은 삶 진정한 혁명이라고 썼다. 호랑애벌레는 알에서 태어나고 먹는 일에 정신이 팔려 먹기만 했지만 금방 싫증이 났고 다른 무언가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세상에는 새로운 것들이 있었지만 그 어느 것도 오랫동안 호랑애벌레의 마음을 사로잡지는 못했습니다.그러던 어느 날 하늘로 치솟고 있는 커다란 기.. 2016. 4. 12.
<야곱 너는 특별해>를 통해 본 디베커션 과정및 방법 야곱 너는 특별해 (문지아이들 29)저자가브리엘레 하이저 지음출판사문학과지성사 | 2002-08-09 출간카테고리아동책소개앨버트로스들은 하늘을 멋지게 날아다니지요. 하지만 날지 못하는 ...       1. 수업 계획 1차시: 줄거리 이해하기        중요사건을 찾아보고 사건의 의미를 파악한다. 2차시 : 논제구축하기           논제를 구축하고 논제에 맞는 논점을 만든다. 3차시 : 반론서쓰기           반론서도 주장의  근거가 드러나도록 한다. 4차시 : 디베이트          실제 디베이트를 한다. 5차시 : 에세이 쓰기하나의 논점으로 자신의 입장을 정해 에세이를 쓴다. 2. 각 차시별 예1) 1차시  줄거리파악하기  줄거리 말하기 릴레이식 또는 키워드식 줄거리 말하기 인과관.. 2014. 9. 30.
독서 디베이트란 무엇인가-디베커션모형1 디베커션양식.hwp 입론서양식.hwp 디베이트란 과정 중심의 토론을 말한다. 독서디베이트란 책을 읽고 책을 매개로 하는 토론을 일컫는다. 책을 많이 읽는 것도 중요하다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사고의 확장이다. 책을 읽고 그에 그치는 사람과 책을 읽고 사고를 확장하는 사람과는 질.. 2014. 6. 23.
마지막 왕자-생각거리 마지막 왕자(문고판) 저자 강숙인 지음 출판사 네버엔딩스토리 | 2010-02-25 출간 카테고리 아동 책소개 신라의 마지막 왕자, 마의태자를 새롭게 그려낸 역사소설! 네버... 역사는 거울과 같다. 잘못된 역사일수록 더 밝게 비추어보아야 한다. 그 잘못을 교훈삼아 두번 다시 그런 잘못을 되풀.. 2012.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