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화2

한국미술사 한국 미술사 저자 박우찬 지음 출판사 재원 | 2013-01-28 출간 카테고리 예술/대중문화 책소개 한 권으로 읽는 한국미술사한국미술은 한국의 사회적, 문화적, 역.. 미술은 작가 개인의 천재적인 능력이 아니라 사회시스템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산물이다. 시대의 요구에 만들어지는 사회적 산물이라는 견지에서 한국미술사를 편찬했다. 다른 한국미술사가 시대에 따라 화가의 작품과 특징을 나열했다면 박우찬 저자는 사회문화적 요구 시대의 요구가 어떻게 미술에 반영되어 발전해왔는지에 주목하면서 기술한 점이 다른 책과의 차별성이다. 그래서 어찌 보면 미술사가 훨씬 이해가 쉽고 정리가 잘된 느낌을 받는다. 1. 원시시대의 미술 원시인들은 동물들을 많이 잡게 해 달라는 소망을 빌기 위해 잡고 싶은 동물을 바위.. 2015. 6. 18.
한눈에 반한 민화 박물관 한눈에 반한 민화 미술관저자장세현 지음출판사사계절 | 2012-09-03 출간카테고리아동책소개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민중의 그림, 민화 민화는 실용적인...     1. 민화란? 민화는 감상용 그림이 아니다. 예술작품이 아니다.위로는 왕공 사대부부터 아래로는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이 실생활에 널리 쓰이던 그림이다.민화는 특별한 목적을 위해 그려진 그림이다. 민화의 사용혼례식이나 환갑잔치를 치를때 장식용으로대문이나 벽에 부적처럼 사용자신의 소망을 빌거나 누군가를 축하해 주기 위한 그림민화의 소재호랑이 까치 물고기 사슴 학 거북 토끼 매화 소나무 대나무 모란 연꽃 불로초 석류 해태 용민화의 의미악귀나 재앙 나쁜 것을 몰아내는 힘이 있다고 생각했다.그림을 통해 삶의 부귀, 장수, 출세등 갖가.. 2014.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