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마 출판사에서 출간된 징비록은 3권으로 되어있다.
아이들이 읽기쉽게 번역되어있고 그림도 있다.
또한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그리고 생각해보도록 글 중간에 한두페이지 정도로 정리한 글이 있다.
이글 때문에 아이들이 쉽게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징비록은 지난일의 잘못을 주의하여 뒷날에 어려움이 없도록 조심한다는 뜻으로 시경에 나와 있는 구절에서 따온 제목이다.
임진왜란전의 것도 있는데 임진왜란이 일어날 수 밖에 없었는디를 발히기 위해서 임진왜란전의 상황과 임진왜란중의 일들을 기록한 것이다.
임진년 1592년 선조25년-1598년 선조31년 사이의 임진왜란이 큰 줄거리고 임금께 보고한 글, 공문서등을 첨부하여 지은 글이다.
전쟁전의 조선은 사대교린정책으로 중국은 사신이 오고 갔지만 일본은 통신사라 낮춰부르며 소홀히 하역다.
무로막치막부(1336-1573)와 국교를 맞은지 200년동안 신숙주등도 일본과 평화 롭게 지내야 한다고 할 정도였다.
일본은 통신사를 보내왔으나 조선은 일본을 등한시하였다.
일본의 무로막치막부가 망하고 나라가 여러개로 나뉘다가 1585년 토요토미히데요시가 나라를 통일하였다.
통신사를 요구한 일본에 대해 조선은 바닷길을 모른다는둥 통신사를 보내는 것을 회피하고 업신여겼다.
그러나 어쩌지 못하는상황에 김성길 황윤길 허성등의 통신사를 보냈다,
그러나 경상도 지방에 근거를 둔 김성일등의 동인들과 경기도 황해도에 근거를 둔 황윤길이 일본서 가지고 온 답은 서로 달랐다.
전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한 김성일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일본에서 가져온 조총등의 무기에 대해선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채 창고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성축조등이 문제등이 거론되지만 군사문제 경제문제 등 그리고 안이한 생각으로 제대로 하지 못한다.
여기서 우리가 이야기 해보아야 할 것이 있다.
1.일본과의 외교문제
2.동인 서인의 답이 달랐던 원인과 문제점
그리고 그등의 주장의 근거
3.일본에서 가져온 물건들의 의미하는것 -그런 물건들에서 우리는 무엇을 바라봐야 하는가
조총이 있었는데 조총을 좀더 잘 관찰 연구했더라면
4.전쟁의 조짐은 어떠했는지
5.신립과 이일 두사람을 시켜 지방에 보내 전쟁준비가 잘 되어가는지 관찰하라고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
그에 대한 문제점 전쟁준비를 잘한다는 것이 무엇이고 그들이 파악하고 준비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6.무기연구
조총에 대한 무지 그리고 우리나라 무기의 발달
7.전쟁에서 전술의
1) 문경새재를 두고 충주의 탄금대에 싸움을 한 신립 장군의 패배
2)쫒겨나는 일본을 더 추격하지 않은것
이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
전쟁에서의 병법의 중요성 전략과 전술의 중요성
8.적이 왔다는 사실을 알려줬는데도 믿지 못하고 오히려 죽인것은 백성들의 사기를 저하 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리더로서의 자질과 정보력에 대한 이야기
9.명 왜 조선의 삼각관계
10.원군으로 명이 모면서 백성들이 받아야 했던 고통
전쟁으로 고통받았던 백성들의 상황
강화 협상과정을 통해 명 일은 조선을 사이에 두고 벌인 그들의외교정책와 우리의 외교정책
명이 원군으로 등장하면서 명의 외교정책 그리고 우리의 외교정책
임진왜란이 끝나고 난후의 우리와 명과의 외교정책을 생각해보자.
우리가 외교권의 주도권을 뺏기고 굴욕적인 외교에서 우리의 가야할 방법을 생각하자.
11.통신사에게 일본은 명으로 쳐들어가겠다는 입장을 이야기 한다.
그런데 이 내용을 갖고 조정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유성룡은 알려야 한다. 이산해는 알리지 말아야 한다. 일본과 통신사를 주고받은걸 알면 문제가 발생한다는 입장이었다.
이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거북선
용머리로 입에는 대포1 양쪽 6 개씩의 대포가 있다.
좌우전진이 가능하다
송곳을 박고 거적을 씌워 적군이 다치게 했다
등은 검정칠을 하여 철갑선이란 별칭이 붙었다.
총3척의 배가 만들어졌다.
*안택선
일본의 배로 나무 판자를 철판으로얶어 연결하여 만든것
속도를 내려고 얇고 가볍게 만들었고
큰배는 2.3층의 누각을 만들어 앞에서 대포를 쏠수 있게 만들었다.
주로 총을 사용하였고다
*판옥선
맹선이라는 단층구조에서 판옥선이라는 2층구조의 배조선의 배가 등장
판옥선은 2층구조라 많은 사람이 승선했고 시속25KM 로 빨랐다.
전라수군 조방장 정걸이 만들었다고 한다.
아래층에는 나무벽이 공격을 막아주어 노를 안전하게 저을 수 있게 했고
위층에는 높릉데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공격하기 유리하게 했다.
일본수군이 전술은 상대의 배에 뛰어들어 칼로 싸우는 것이었다.
수군이 판옥선에 올라오기 힘든 2층 구조라 유리했다.
우리 수근의 전술은 불화살로 배를 태우든가 대포를 쏘아 배를 맞추는 것이어서 유리했다.
징비록에는 의병들의 활동 이순신, 곽재우 김시민등의 많은 사람들이 얼덯게 싸웠는지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중요한 자료다.
그런데 광해군이 임진홰란을 통해 입지를 굳히는데 그에 대한 이야기는 찾을 수없었다.
'아동, 청소년도서 > 예술역사과학사회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콤달콤한 명화 갤러리 (0) | 2015.07.08 |
---|---|
마루랑 온돌이랑 신기한 한옥이야기 (0) | 2015.07.06 |
조선시대 초상화에 숨은 비밀 찾기 (0) | 2015.04.15 |
마지막 왕자-생각거리 (0) | 2012.04.03 |
그림에 대한 이해와 감상에 대해-명화속에 숨겨진 사고력을 찾아라 (0) | 2007.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