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경제,사회

목민심서

by 까만여우 2015. 12. 3.
728x90

목민심서의 자서

 옛날에 순임금이 요임금의 뒤를 이어 천하를 다스릴 때는 12목을 두어 그들로 하여금 목민케 하였고 문황이 정사를 돌볼 때 사목을 두어 목민케 하였으며 맹자가 평륙으로 갔을 때는 가축을 기르는 것을 목민에 비유하였으니 백성을 기르는 것을 목이라 일컫는 것은 성현의 남긴 뜻이다,

성현의 가르침에는 두가지 길이 있는데 하나는 사도들 두어 만백성을 가르치고 각기 수신하게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국자를 가르치고 각기 수신하여 백성을 다스리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군자의 학문이란 반은 수신하는 것이며 반은 목민하는 것이다,

선친이 현의 감과 군의 수와 부의 호,주의 못을 지내면서 업적을 쌓으시는 것을 보고 배우고 얻은 바가 있고 몸소 시험하고 경험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미 귀양살이 하는 몸으로 아무 소용이 없게 되었다,

먼 면방에서 18넌 동안 궁하게 살아오며 사서와 오경을 되풀이 하여 연구하고 수기의 학문을 강론하였다.

23사와 우리 나라의 사서및 자집 등 여러 서적을 가지고 옛 사목들의 자취를 찾아 연대순으로 뽑아 분류하여 차례대로 편집하여 12편으로 만들었다,

각 편은 6조로 세분하여 총 72조가 된다.

이것을 몇 조씩 묶어 한권으로 만들어 총 48권으로 한부가 되게 하였다.

이것을 보면 양식있는 수령들은 그 직분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역에 이르길 전 사람의 말이나 지나간 행동을 많이 앎으로써 그 덕을 쌓는다고 하였으니 이는 진실로 나의 덕을 쌓기 위한 것이지 어찌 꼭 목민에게만 뜻이 있겠는가

그리고 그것을 심서라 한 것도 목민할 마음만이 있을 뿐 몸소 실행 할 수 없으므로 이처럼 이름한 것이다.

 

정약용의 절절한 마음이 전해지는 자서다.

 

목민심서의 목차

1. 부임

  사령을 받으면서(제배), 부임한 갈의 검소한 행장(치장), 조정에 부임인사(사조), 신관의 부임여정(계행), 관부에 도임하면서(상관), 취임 첫날의 정서(이사)

2. 율기---위엄과 산의로써 관속을 통솔하며 청렴하고 이도정신에 입각한 정서에 임할 것을 제시

몸가짐은 절도있게(칙궁), 청렴결백한 마음가짐(청심), 집안의 법도를 바르게(제가), 사사로운 손님은 물리치라(병객), 백성을 사랑하는 길(절용), 은혜를 베풀라(낙시)

3. 봉공

임금의 덕화를 널리 펴라(선화), 흔들림 없는 굳은 신념(수법), 원만한 대인관계(에제), 공문서 처리의 완벽을 (문보), 농간과 적폐의 배제를 (공납), 자기 일은 자기가 (요역)

4. 애민

공경하는 미풍을(양로), 사랑의 정신으로 (자유), 외로운 사람들(진궁), 상사를 돕자(애상), 환자의 구호(관질), 최선을 다하라(구재)

5. 이전----관속을 통솔하는 것은 몸가짐을 바르게 하는 것

 너그러우면서도 엄정하게(속리), 위신을 세워서 (어중), 적재적소를 원칙으로(용인), 현명한 인물들(거현), 엄밀한 사찰(찰물), 엄정한 성적 평가(고공)

6. 호전---토지의 소출을 기준으로 하는 전제를 비판하고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중국식의 경무제 찬양

근본적인 개혁을 (전정), 밝은 세정(세법), 부정의 원천(곡부), 인구실태의 정확한 파악(호적), 민부를 공평하게(평부), 농사는 국민경제의근본(권농)

7. 예전

성경을 다하여(제사), 접대는 법도있게(빈객), 민돌르 높이자(교민), 베움터를 마련(흥학), 신분제도의 확립(변등), 인재를 길러내자(과예)

8. 병전

건전한 병무 행정을(첨정), 만일에 대비(연졸), 철저한 무기 관리(수병), 시급한 국민 총무장(권무), 비상사태의 수습(응변), 순국의 정신(어구)

9. 형전

진상의 저왁한 파악(청송), 신중과 명결을 (단옥), 형벌은 신중하게(신형), 수인에게 온정을 (휼수), 폭력을 엄하게 단속하라(금포), 사회의 정화(제해)

10. 공전

사랑하여 가꾸자 (산림), 수리시설(천택), 보수와 환경미화(선해), 국토방위의 만전(수성), 교통을 편리하게(도로), 건전한 공업육성(장작)

11. 진황

흉년에 대비(비자), 재해 의년의 권장(권분), 사랑의 정을 발휘하라(규모), 구호시설의 확충(설시), 제민 구호의 만찬을 (보력), 재민 구호의 결산(준사)

12. 해관

 무상한 벼슬살이( 체대), 두 소매에 청풍을 (귀장), 청덕을 사모하는 민정(원류), 구명을 호소하는 민의(걸유), 임소에서의 운명(은졸), 송덕과 선정비(유애)

 

목민심서

목민관은 오직 국민을 사랑하고 나라의 일을 염려하여 관속들의 횡포와 부정을 막고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이행하는 방법론을 펴고 있으며 국가 법전을 고증하고 우리 나라 역대로부터 이름 높았던 수령들의 선치는 물론 중국의 유명한 목민관의 치적까지도 실례를 들어서 보충하고 있다.

 

 

'인문학 > 경제,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멸감  (0) 2016.05.17
사다리 걷어치기, 나쁜 사마리아인들  (0) 201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