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6 <바람부는 포플라나무집의 앤> 첫해 5. Anne of Windy PoplarsThe First year 5 책 속 문장Anne felt that it would be positively encouraging to see how many Pringles were where they couldn't annoy anybody any more.앤은 이 많은 프링글 가문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을 더는 괴롭힐 수 없는 곳에 있는 모습을 보면 분명히 풀릴 것이라고 생각했다. She feet very bitter, She had done her best and she knew she could have succeeded if she had had even a fighting chance.앤은 억울한 기분이 들었다. 나름대로는 최선을 다했다. 공정하게 싸.. 2024. 12. 9. <레드먼드의 앤> 9. 달갑잖은 연인과 반가운 친구 Anne of the Island 9. An Unwelcome Lover and a welcome friend 본문 중에서 Anne enjoyed at thoroughly in all its phases - the stimulatory class rivalry, the making and deepen of new and helpful friendships, the gay little social stunts, the doings of the various so cieties of which she was a member, the widening of horizons and interests. 앤은 대학 생활이 모든 순간을 즐겁게 누렸다. 동기들과 치열하게 경쟁했고, 새로운 사람을 마나 도움을 주고받으며 .. 2024. 10. 2.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대화의 기술 칙 무어만, 낸시 웨버 지음 윤미나 옮김 한문화출판사 2013출판 1장 칭찬하는말 앤디가 그린 그림 좀 봐------아이의 창의성을 해치는 공개적인 칭찬의 말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앤디가 그린 나무는 .. 2016. 1. 20. 하호아이들은 왜 학교가 좋을까?-학교라는 곳의 즐거움 하호 아이들은 왜 학교가 좋을까저자장주식 지음출판사철수와 영희 | 2008-12-15 출간카테고리인문책소개공교육 안에서 대안교육의 길 찾기! 『하호 아이들은 왜 학교가... 책 제목을 보는 순간 하하 호호 시끌벅적아이들의 재잘거림과 웃음소리가 정겹게 들려온다.공고육에서 대안교육의 길 찾기란 소개에 걸맞은 책이다. 우리의 교육은 어느새 교육이라 이름 붙이기에 민망한 상태로 되어가고 있다.교육은 사교육 시장이 점령해 버렸고 그래서 아이들은 학교 공부에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각종학원에서 선생 심화 학습을 하기 때문에 굳이 학교 수업을 들을 필요를 아이들은 느끼지 못한다.그래서 더 재미가 없다.그러다 보니 학원 안 다니는 아이들이 종종 피해 아닌 피해를 보게 된다.게다가 인성교육이라는 걸 해보려면학부.. 2012. 5. 11. 열악한 교육환경에 시달리는 교사들-슬픈 우리 현실 학교에서 근무한다는 건 근무시간만으로 따지면 아주 좋다. 9시에서 5시 여덟시간을 철저히 지킨기 때문에 너무 좋다. 점심시간을 근무시간으로 보기 때문에 근무시간은 일반 회사보다 한시간이 빠르다. 게다가 더 좋은 점은 야근이라는게 거의 없다. 야근을 하면 초과수당도 당당히 받을 수 있다는 .. 2007. 11. 12. 내 안의 빛나는 1%를 믿어준 사람-교사에게 주는 메세지 내 안의 빛나는 1%를 믿어준 사람 지은이제인 블루스틴 출판사푸른숲 출간일2003.3.15 장르에세이 이 책은.. 나의 평가보통입니다보통입니다보통입니다보통입니다보통입니다 저자는 이 책을 펴 낸 목표를 세가지로 두고 있다. 첫째 아이들과 접촉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우리가 아이들의 인생에 차이를 만들 수 있음을 상기시키고 싶다. 둘째 긍적적이고 의미있느 방식으로 누군가의 삶에 영향을 미친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싶다. 셋째 긍정적 영향을 미친 교사상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 세가지 목표를 보듯이 책의 내용은 교사가 아이들을 대할 때의 태도에 따라 아이들이 변화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에 나온 대부분의 이야기가 그러한 것처럼 누구나 한두분의 고마운 선생님이 계실거다. 나 또한 마찬가지다. 나의 진실성과 성실성.. 2006. 11.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