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유사3

익산-미륵사지와 왕궁리유적 탐방 1.익산미륵사지 (자적 150호)미륵사지는 배제 30대 무왕이 세운 사찰로 익산의 주산인 미륵산(용화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다,삼국유사 무왕조에는 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를 가던 중 용화산 밑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출현하자 사찰을 짓고 싶다는 부인의 청을 받아들여 연못을 메운 후 법당과 탑 회랑등을 곳곳에 세우고 미륵사라 하였다는 창건설화가 있다.1980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미륵사지 발굴조사에서 2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1993년 미륵산 사자암 발굴조사에서는 백제 및 통일 신라의 기와와 토기 '지치 2년 사자사조'와 암막새가 출토 되어 삼국유사의 신빙성을 입증하고 있다.미륵사는 백제 무왕이 왕권을 강화하고 국력을 신장할 목적으로 조성한 동양 최대 국립사찰로서 조선후기 17세기 무렵에 폐사되.. 2015. 11. 9.
삼국유사-일연 삼국유사저자일연 지음출판사민음사 | 2014-03-24 출간카테고리인문책소개MBC 느낌표 '책을 읽읍시다'의 열두 번째 선정 도서로서 40...        1. 일연고려 희종 2년  최충헌이 집권한 무신정권 시대인 1206년 경산에서 출생했다.이름은 김견명이었다.9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손에 이끌려 공부하러 광주 무등산 자락 무량사에 들어갔다가14세에 승려가 되기 위해 강원도 야 양 진전사에 들어갔ㄷ.처음 희연이라는 법명을 썼으나 후에 일연으로 바꿨다.효성이 지극했던 일연은 79세에 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나라에서 수리해 준 인각사라는 절에서 삼국유사를 완성한다.84세에 입적했으며 시호는 보각이다. 2. 삼국유사의5권 9 편목이다권 1-왕력 제 1과 기우제 1권 2-기이 2권 3-흥법제 3과 탑.. 2014. 1. 20.
삼국사기-역사의 중요성 삼국사기저자김부식 지음출판사동서문화사 | 2007-07-20 출간카테고리인문책소개『삼국사기』는 정치적 흥망 변천을 기년체로 서술한 삼국의 정사이...        1. 삼국유사 편찬과정김부식이 삼국사기올리는굴에서해동의 삼국도 지나온 해가 길고 오래므로 마땅히  그 사실을 방책에 기록해야 된다......오늘의 학부 대부들이 로영과 제자의 글이며 진한 역대의 역사에 있어서 혹 널리 알고 자세하게말하는 사람이 있으나 우리나라의 일에 대해서는 망연하여 그 사실을 모르고 있으니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또 그 고기로 말하자면 글이 거칠고 서투르며 뜻이 통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적이 빠지고 엇어지고 해서 임금의 선악과 충사와 나라의 안위와 인민의 이란이 제대로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로서 뒷날 사람들이 권면하.. 2014.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