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짝 미쳐가는 세상에서 완전 행복해지는 심리학 상세보기
지은이박지숙
출판사무한
출간일20091116
장르심리학 베스트셀러보기
책 속으로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 세상에 왔다! 영혼의 행복과 휴식을 위한 기술 국내 최초로 상담으로 마음을 치료하는 마인드힐링 연구소장 박지숙이 전하는 심리치유서 『살짝 미쳐가는 세상에서 완전 행복해지는 심리학』. 이 책은 마음치유라고 불리는 ‘마인드힐링’을 소개한다. 우리의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이끌어 주는 마인드힐링의 기초는 슬픔, 분노, 자기비하 등의 부정적 정서와 내가 이걸할 수 있을까 등제한적 신념을 긍정적으로 바꾸어준다. 늘 불안과 스트레스로 고통 받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것은 의사가 아니라 따뜻한 위로와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사람이다. 저자는 영혼의 행복과 휴식에도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은 5개의 테마로 나누어 삶이 외롭고 우울한 진짜 이유들과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또한 마음먹은 만큼 성공할 수 있는 방법, 뜨겁고 간절한 사랑을 하는 방법 등 정신적 면역력을 키워주는 훈련을 제공한다. 이 책에 따르면 정서와 신념을 관장하는 무의식의 힘은 우주의 모든 것을 끌어당길 만큼 무궁무진하다고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무의식의 기본원리를 이해하여 인생의 궁극적인 해결의 열쇠를 찾아야한다. 이 책에서는 이를 통해 자신의 관점을 가장 긍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변화시켜 건강하고 즐겁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팁을 제시한다.
이 책은..
게다가 종이의 질감도 좋고 중간 중간 나오는 사진들은 눈과 마음의 평안을 준다.
책으로 들어가보자
사람은 행복해지고 싶어한다.
어떻게 하면 행북해질까?
저자는말한다.
상대에 대한 기대치를 0으로 만들어라지금 이순간 행복하자놓아버려라조금만 쉬어봅자비교하는 마음을 없애라
.... 비교하다 보면 한도 끝도 없다.
게다가 우리는 즐길 줄을 모른다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현재를 충분히 즐기지 못한다.
방탕한 생활 또는 미래에 대한 준비를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의 상황을 인정하고 즐기고 받아들이는 것
그것이 또 다른 미래를 준비하고 행복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대방과 친해지는법은
미소를 띠면서 상대방을 칭찬하라당신의 존재감을 높여라자상하고 친절하고 온화하되 상대와 거리감을 유지하도록한다자신에게 잘 어울리는 캐릭터를 만들어 자신만의 매력을 갖아라
....그런데 우리는 친하다는 이유 하나로 너무 많은 걸 공유하려고 한다.
친한 사이에도 예의가 있으며 어느 정도는 거리감을 두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
너무 가까우면 기대하게 되고 어떤면에서는 실망하는 마음도 생기니까
아깝지만 포기해야 하는 남자가족사가 안좋은 사람이상한 괴벽이 있는 남자변덕이 죽 끓듯 심한 남자인정이 없는 남자여자보다 너무 열등한 남자 아깝지만 포기해야 하는여자가족사가 안좋은 여자너무 억척스러운 여자남자를 휘어잡으려는 여자고마움을 모르는 여자집착이 너무 심한 여자
........그러나 는에 콩깍지가 씌여서 상대의 그런 점이 보이지 않는게 문제고
사람의 인연이라는게 내맘대로 되지도 않는거니
그런 사람을 만나더라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기르는 수밖에
저자는 또 말한다.
여자는 잔소리를 줄이고 남자는 표현을 하라고.
남자와 여자가 결혼 생활을 하는데 이런 부분들 때문에 많은 상처를 받는다.
저자는 많은 이야기를 한다.
색깔로 심리 치료도 하고 식이요법도 이야기하며
정말 다양하다.
우리는 현대를 살아가면서 정말 우울하다.
때로는 무기력 때로는 삶에 지치기도 하고
때로는 재미없음 무미건조한 삶에 시들해지기도 하고
그러나 그것 또한 삶이다.
문제는 그런 나의 생활을 길게 끌지 않으며
다시 일어서려고 하는 나의 근본적인 자생력이다.
그 자생력은 부단히 평소에 갈고 닦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책 > 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만 버려도 행복하다-아름다운 노년 품위있는 죽음을 위하여 (0) | 2011.05.06 |
---|---|
스님의 주례사-사랑 수행의 자리 (0) | 2011.05.03 |
러시아 상상할 수 없었던 아름다움과 예술의 나라 (0) | 2010.06.16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0) | 2010.06.04 |
혼자 걷다 (0) | 201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