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과학

다윈의 식탁 장대익 다윈 이후 진화론자의 논쟁

by 까만여우 2014. 5. 20.
728x90

 
 


다윈의 식탁

저자
장대익 지음
출판사
김영사 | 2008-11-21 출간
카테고리
과학
책소개
진화론의 후예들이 펼치는 생생한 지성의 만찬. 화석화된 교과서 ...
가격비교

 
 해밀턴 박사의 장례식에 전세계에 흩어졌던 진화론자가모두 모였는데 이번 기회에 진화론자들의 혈전을 통해 결판을 내보자는 것으로 이 책은 시작한다.
진화론자의 양대산맥이라 불리는 도킨스와 굴드는 두세명의 동조자들과 함께 하루에 한가지 주제를 놓고 열띤 논쟁을 벌이는 가상의 시나리오다.
 
1.자연선택의 힘-강간도 적응인가
자연선택으로 산출된 형질 즉 적응과 그렇지 않은 것들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연계에는 얼머나 많은 적응이 존재하는지, 인간의 마음과 행동의 어떤 부분들이 적응인지에 대한 톤론이다.
자연선택의 힘을 강조하는 적응주의자들과 그힘을 최소화하려는 반적응주이자들이 대립의 양상이다.
자연선택 적응성의 여부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다
 
2.협동의 진화-이기적 유전자로 테레사 수녀를 설명할 수 있는가
자연선택은 어느 수준에서 작용하는가 유전 선택론인가 집단 선택론(다수준 선택론)과의 대립이다.
이기적 유전자로 유전자가 존재하며 그로 인해 서로 윈윈하는 전략으로 협동을 한다고 보는 반면에 다수준 선택론은 유전자의 문제로 진화론을 축소시켰다고 보고 있다. 자연선택은 유전자수준 뿐만 아니라 집단의 수준에서도 작용한다.
 
3.유전자 환경 그리고 발생 유전자에 관한 진실을 찾아서
비유를 하면 유전자를 오케스트라의 단원으로 보는 측과 오케스트라이 지휘자로 보는 관점의 대립니다.
도킨스쪽은 유전자가 특정한 차이를 만든다고 유전자는 차이 제조자다
굴드쪽은 정보를 가진 유전자가 발생과정에서 핵심기능을 맡는다. 유전자는 독립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표현된다
 
4.진화속도와 양상-진화는 백미터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소진화를 거쳐 대진화가 일어난다는 점진적 진화론자와 진화가 점진적이지 않고 도약하듯이 일어난다는 단속평형론자-굴드파와의 대립이다.
단속평형론이란 생물이 사는  환경보다 그 생물의 어떤 본질적인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유형으로 평형상태가 갑작스런 변화의 방해를 받아 진화한다는 개념이다.
 
5.진화와 진보-박테리아에서 아인슈타인까지
과학의 신빙성에 더 도킨스는 강한 신뢰를 보이고 굴드는 사회적 이념이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에 더 주의를 기울인다. 도킨스는 과학주의를 신봉하고 굴드는 사회구성주의를 따른다.
주어진 환경에 성공적인 종이 살아남으며 종은 진보한다는 의견과 진화는 우연에 의해 발생되며 진화는 진보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라고 보았다.
 
6.잔화론의 계보
다윈의 자연선택론
1)유전자선택론-점진론-------------------------------메이너드 스미스, 서트머리
                    -진보론-------------------------------마이어, 데닛 ,트리비즈
                               -유전자환원론------------------키처 캐럴
                                        - 적응주의----------------도킨스, 핑거 ,코스미디어
 
2)다수준 선택론-반진보론
                     -도약론-----------------------------길버트, 엘드리지
                               -발생계이론------------------굴드, 오야마
                                       -반적응주의-------------촘스키, 코인, 르윈턴
이책은 각 매체에서 실제 이야기로 생각할 만하다.
이책은 종의 기원 이후 한번 읽어보고
도킨스와 굴드의 책을 읽어본 후에 다시 한번 정리의 개념으로 읽어봐도 좋을 듯하다.
책을 따로 읽지 않아도 꼼꼼히 읽어본다면 그 뜰을 헤아릴 수 있다.
 


'인문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기적 유전자 -도킨슨  (0) 2014.06.18
토마스 쿤이 들려주는 패러다임 이야기  (0) 2014.06.13
다윈지능-최재천  (0) 2014.06.02
다윈의 종의 기원-진화론  (0) 2014.05.18
풀하우스 - 진화 진보  (0) 2013.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