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주의를 비판하는 내용에서 정적주의이며 명상철학이고 부르주아철학이디. 인간이 추한 면만 드러내 보여주고 인간의 긍정적인 면은 보여주지 않는다고 한다 라는 말을 시작으로 샤르트르는 실존주의의 철학이야말로 휴머니즘의 철학임을 피력한다.
실존주의는 삶을 가능케하는 독트린을 의미한다.
실존주의라는 말은 모든 진리와 행위가 그 어떤 환경과 인간적인 주체성을 함축하고 있다고 선언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존주의는 야스데거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적 실존주의와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한 무신론적 실존주의로 나 위어 진다.
그러나 둘의 공통점은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는 것이다.
실존주의의 원칙을 생각해 보자.
첫째, 인간은 스스로가 만들어가는 것이다.-주체성, 책임
주체성을 갖고 인간은 주체적으로 자기 삶을 살아가는 하나의 책임자다.
지금 자신의 주인이 되도록 하는 것, 전적인 책임을 지는 것을 말한다
둘째 우리 각자는 스스로 선택한다.-자유
우리 각자는 스스로 선택하는데 이선택은 개인에게 유요한 것뿐만이 아니라 전체 인류에 대한 앙가제이기도 한다.
내가 선택하는 인간의 이미지를 가지고 선택하고 그것을 책임지는 것이다.
선택을 할 때 인간은 홀로 남겨진 존재이며 이때 불안을 동반하지만 인간은 선택에 스스로 책임을 갖게 되면서 인간은 인간 자신을 발명하게 된다.
셋째 인간에게는 본성이 없다.-자신이 만들어 감
감정이란 자체도 사람이 하는 행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실존주의는 인간의 행동을 통해서 정의한다.
그러므로 실존주의는 자유다.
어떤 구속도 없이 자신이 자유롭게 선택하는 삶이고 자신의 행동 속에서 희망이 존재하므로 낙관적인 철학이다.
모든 가치로서의 자유 기만하지 않는 행위는 긍정적인 의미를 만든다.
세상에 던져진 존재는 어떤 목적에 의해서 내던져진 것도 아니다.
무의 상태인 존재자는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선택해야 한다.
그 선택은 자유다.
그 자유를 책임지는 것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지는 것 그것이 실존주의 샤르트르의 철학이다.
이 책에는 용어정리를 해놓고 있다
실존주의-샤르트르는 무신론적 실존주의가 더 일관적이라고 주장한다. 신과 창조론을 거부한다는 점에서 모든 인간의 본성을 거부한다는 점에서 시혼이 본질에 앞선다는 점에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자-사물의 존재로 즉자는 이식과 반대로 꽉 들어차 있고 충만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대자-의식의 존재를 말한다. 인간만이 대자가 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다
실존-대자의 존재방식으로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인간, 가능한 것을 향해서 스스로 던지는 인간 기투하는 인간을 그리게 된다.
기투-인간은 어떤 이유도 없이 이 세상에 던져진 존재 즉 피투 된 존재다.
따라서 인간은 본래적이라고 할 만한 그 어떤 본질도 없는 부조리한 존재다.
그렇지 깨문에 인간을 자유로운 존재다. 인간은 자신이 절대적으로 자유로서 미라 다양한 가능성에 직면하여 스스로 선택하고 기투하는 존재다.
이처럼 인간이 현재를 넘어서 미래를 향해 스스로를 던짐으로써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는 것을 미투라고 한다.
자유-인간의 실존은 그 어떤 것에도 구속되지 않는다.
자유는 인간의 본성을 구성하는 어떤 속성으로서의 질이 아니다.
자유는 인간실존의 자체를 말하며 대자존재의 자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불안-불안이란 인간이 자유롭다고 의식할 때 필연적으로 느끼는 감정이다.
그 어떤 것에도 의지함이 없이 자유롭게 선택하는 나 그리하여 자연의 선택에 전적으로 책임을 지는 나를 의식할 때 인간이 필연적으로 갖게 되는 감정이다.
홀로 남겨짐-신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닌 존재 인간밖에서는 그 어떤 것도 의지 할 것이 없는 자신의 행동이 근거할 어떤 가능성도 발견할 수 없는 자신만이 자신을 책임진다는 인간의 실존 조건을 말한다.
절망-인간은 홀로 남겨졌고 인간에게는 기댈 어떤 본질이나 가치도 주어지져 있지 않다.
앙가주망-인간이 자기 고유의 상황에 대면하여 자신의 전적인 책임을 의식하고 그 상황을 변경하거나 유지 또는 고발하기 위하여 행동할 것을 결심하는 태도를 말한다.
앙가주망은 단순히 개인적 차원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나의 선택을 통해서 나만이 앙가제한는 것이 아니라 인류 전체를 앙가제 한다.
자기기만-인간이 불안을 회피하고 자기가 갖는 절대적인 자유를 자신에게 감추기 위하여 의존하는 방식을 말한다. 자기기만은 거짓이다.
'인문학 > 철학,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의 의무를 묻는다-의무와 권리 (0) | 2014.10.01 |
---|---|
강신주의 감정수업 (0) | 2014.09.25 |
장자-무용지용 (0) | 2014.01.02 |
마키아벨리 군주론 (0) | 2013.12.27 |
한비자-법가사상을 만나다 (0) | 201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