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화가들은 추운 겨울에도 하경 산수를 그렸고
한여름에도 설경산수를 그렸다,
중국 땅 한번 가본 적이 없어도 동정호주변의 소상팔경을 그렸고 주자가 은거했던 무이구곡을 그렸다.
우리의 옛 화가들이 대상을 직접 보고 그린 것이 아니라 알고 있고 생각하고 있고 보고 싶은 것을 그렸음을 말해준다.
우리 선조들은 대상을 바라보되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일정거리를 두어 주관적으로 관조했다.
소나무를 두고도 외관의 아름다움보다는 한겨울에도 푸른 생태적 속성을 사랑했고
소나무에 얽힌 엣 성현들의 환영을 찾는데 더 큰 관심을 두었다.
조선시대는 유교사회이고
유교역사관의 핵심원리는 상고주의다.
상고주의 정신은 독조도, 은거도등 선대 성현들의 행적과 정신세계를 주제로 한 소경 산수인물화나 고사 인물화를 통해 표현되었고 산대문인들의 삶의 모습과 문학 세계를 흠모하는 마음은 시의 화등을 통해 시각화되었다.
또한 본능적 욕구를 위해 부귀 안락 무병장수의 욕망은 장식미술의 발달을 가져왔고
여러 가지 상징형을 통해 표출되었다.
아들 낳기를 바라는 마음은 석류 수박 포도등의 씨앗이 많은 소과류나 가지, 오이 등을 통해 표현했고
장수에 대한 욕망은 수성노인도십장생도
부귀는 모란꽃 화조화 안락은 문신도, 닭그림, 직일신장도 신분상승의 욕구는 어변성룡도 일로연과도
궐에는 제왕의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 용 봉황 일월오악도등을 그렸다.
이 책은 1991년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을 바탕으로 쓰인 책이다.
목차
1. 산수를 대하는 세 가지 관점-경치, 흥치, 이치
2. 군자의 품격을 그림에 담다-사군자
3. 그림으로 만나는 선비들의 즐거운-풍류와 문방 청완 취미
4. 시와 그림을 다르지 않다-시의도
5. 행복한 삶-행복과 길상에의 소망
6. 불로장생의 생을 꿈꾸다-신선세계의 동경
7. 명리를 탐하지 않는 은자를 그리다-은둔과 은일
8. 군신, 사제, 부부 사이의 중요한 덕목-절조와 의행
9. 그림으로 교화의 계기를 삼다-고사인물화
10. 그림에 담은 왕권의 지엄함과 상서-왕권과 상서의 징표
11. 상상의 동물에 의미를 부여하다-환상과 금수
12. 문자에 그림을 더불어 그려 의미를 담다-문자도
13. 눈에 보이지 않는 음양과 오행의 상징-색
옛 그림을 이해하는 첫번째 방법은 고전을 가까이 하는 것이다
그림의 의미를 한층 더 풍부하게 알고 싶다면 문집을 읽어야 한다.
상고주의 옛그림을 볼 때 잊지 말아야 한다.
옛 그림의 배후에는 길상사상이 있다.
소재를 알고 그 상징을 깨달으면 옛 그림이 훨씬 가까워진다.
옛 그림을 안다는 것은 바로 우리의 문화를 안다는 것이다.
'인문학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의 미술관 (0) | 2015.09.07 |
---|---|
한국미술사 (0) | 2015.06.18 |
이탈리아 르네상스 의 인문주의와 미술 (0) | 2015.03.22 |
르네상스 명작 100선 (0) | 2015.03.09 |
이중성의 살인미학 카라바조 (0) | 2015.01.19 |